본문 바로가기
재테크

ETN, ETF 와 무슨 차이일까요, ETN 에 대하여 알아보자!!

by 카프릴 2015. 6. 12.


상장 지수 증권 (Exchange Traded Note), ETN 은 2015년 11월에 첫 선을 보였습니다.
기초 자산은 주식, 해외 지수, 환율 등 다양한 기초 자산으로 가격이 결정됩니다. 중위험, 중수익의 상품을 제공하겠다는 목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.
딱 봐도 ETF 와 비슷한데요, 그 차이와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.



ETF 인듯 ETF 같은 ETF 같지 않은 ETN


기초 지수 등락에 따라 결정되고, 주식처럼 사고 팔수 있는 점이 ETF 와 ETN 의 유사항 점이고, 둘 다 장중에 사고 팔 수 있습니다.
또한 두 상품 모두, 증권 거래서 0.3% 가 면제가 됩니다. 또한 과세 ETF 와 비슷하게 매매 차익에 대하여 15.4%의 소득세가 부과되는 점도 비슷합니다.
가장 큰 차이점은 ETN 은 증권사의 신용으로 발행한 파생 상품이라는 점입니다. ETF 는 지수의 구성 종목을 편입해 운용하는 펀드로 약간 다릅니다. ETN 은 만기가 있는 파생 결합 증권으로 정의하고, ETF 는 만기 없는 펀드 정도로 정의됩니다.




ETN 의 장점


ETN 의 가장 큰 장점은 추적 오차가 없다는 점입니다. 증권사가 약속하는 증권이라 그렇다고 하는데요. 만기 시 추적오차가 없다고 합니다. 하지만 이 부분은 좀 더 지켜봐야 할 사항 같구요. 아직 장내 상품이 많지가 않더라구요.
최대 장점은 선물, 옵션, 원자재 등은 투자하기에는 리스크가 너무 크고 접근이 어려운데요, 파생 상품에 분산 투자할 수 있도록 해준다고 합니다. 즉 ETN 종류도 ETF 종류처럼 많아서 투자하기 좋다~! 이거죠.

ETN 투자?


아직 ETN 투자는 해보지를 않아서 추천하기는 어렵구요. 금리 1% 시대의 대안 투자 상품 중 하나로 생각하시고, 기회가 될 때 투자하심이 좋겠습니다. 

금, 은, 구리 같은 원자재 가격의 반대로 가는 인버스 상품도 있다고 하니, 관심을 가져보려고 합니다.